-
재산세 납부의 계절이 다시 돌아왔다. 주택뿐만 아니라 토지, 건물, 선박, 항공기 등 다양한 재산에 대한 세금을 납부해야 하기 때문에 이 시기엔 납부 방법과 할인 혜택 등에 대해 관심이 높아진다. 이번 글에서는 2023년 재산세 납부 기간과 중요한 점, 그리고 각종 혜택을 활용해 절세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재산세 납부 기간과 중요한 점
ㆍ건축물: 7월 말까지 납부
ㆍ토지: 9월 말까지 납부
ㆍ아파트: 전체 금액의 50%는 7월 말까지, 나머지 50%는 9월 말까지
20만 원 이하는 7월에 전액 납부 가능
500만 원 이상은 2개월 분납 가능
7월 안에 내지 않으면 3%의 가산금이 있다.
재산세는 액수가 꽤 되는 경우가 많아 잊으면 고스란히 가산금을 내야 한다.
카드를 이용한 재산세 할인
대부분의 은행계열 카드들과 BC 카드는 재산세에 대해서 무이자할부나 전체 무이자는 2~3개월 정도까지 해주고 있다.
체크카드 할인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알아보자.
▶ 신한카드
납부 금액의 0.17%를 현금 캐시백 해준다.
(1만 원 미만의 경우 마이신한포인트로 적립된다.)
▶ 국민카드
서울시와 협력하여 재산세, 주민세 등 각종 세금은 KB페이로 납부하면 500 포인트리 적립해 주는데 세금 납부 시 1,500 포인트리를 받을 수 있고, 최대 3,500 포인트리까지 적립 가능하다. 또한 경품 추천을 통해 골드바, 상품권 등을 제공한다고 한다.
▶ 롯데카드
재산세가 50만 원이 넘는 경우 롯데카드로 납부하고 홈페이지에서 이벤트를 응모하면 커피 2잔 쿠폰 준다. 응모하면 무조건 주는 것으로 1만 원 정도 되는 값이라 평균적으로는 롯데카드사가 주는 캐시백이 제일 크다.
▶ 현대카드
현대카드는 M포인트로 재산세를 낼 수 있다. (1원=1.5포인트)
2~3개월 무이자 할부가 가능하며, 6개월, 10개월, 12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도 진행한다.
▶ 하나카드
10개월, 12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를 진행한다.
▶ 우리카드
10개월, 12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를 진행한다.
단, 재산세의 경우 카드납부 후에는 취소가 불가하고, 국세 납부는 신용카드 0.8%, 체크카드 0.5%의 수수료가 발생하니 신중히 결정하자. (지방세는 카드 수수료 없음)
2023년 재산세 납부 기간과 중요한 점을 정리하고, 카드를 이용해 할인과 혜택을 받아 절세할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재산세 납부 시기에 대한 확인과 카드 혜택을 잘 활용하면 조금이나마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기한을 넘기지 않도록 유의하고, 카드 혜택을 신중하게 선택하여 절세 효과를 극대화해 보자.
건설근로자퇴직공제금 (하나로 전자카드 발급)
퇴직공제 제도안내 건설근로자 퇴직공제제도는 건설업 종사자들을 위해 마련된 퇴직금 제도이다. 이는 건설업 특성상 여러 현장을 이동하며 근무하는 일용, 임시직 근로자들의 경우, 일자리를
corner.arles81.com
숨겨진 보험금 찾기 : 언제 찾는 게 좋을까?
우리나라에서 숨겨진 보험금은 여전히 약 12조 4천억 원에 달하고 있다. 지난해 1년 동안 3조 9천억 원의 숨은 보험금이 찾아졌음에도, 많은 금액이 아직도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약 127만 명의
corner.arles81.com
기초연금 재신청 (탈락자는 확인하세요!)
급격한 공시지가 상승으로 기초연금에 탈락하신 분들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올해 공시 가격이 대폭으로 낮아졌습니다! 공시가격이 줄어들면 소득인정액 또한 감소합니다. 즉,
corner.arles81.com
'정책ㆍ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상돌봄서비스 : 정부 무료 지원 알아보기 (0) 2023.07.20 휴대폰 피싱 예방법: 무심코 누르지 않는 4가지 방법 (0) 2023.07.18 숨겨진 보험금 찾기 : 언제 찾는 게 좋을까? (0) 2023.06.30 만 나이 통일법 : 한방에 정리 (0) 2023.06.29 건설근로자퇴직공제금 (하나로 전자카드 발급) (0) 2023.06.28